리그넘이 2020년 JEC Korea, 2020 Startup Booster를 수상하였습니다.
Lignum is selected as one of JEC Composites Startup Booster Finalists
Lignum is honored to be selected as one of JEC Composites Startup Booster Finalists
리그넘, 피아트 자동차 주관 혁신솔루션 기술 공모전 선정
Lignum is selected to pitch for Bridge2Brands: FCA (Fiat-Chrysler Automobiles) and Biobridges Call for Innovative Solutions.
SKT, 혁신기술 스타트업과 사회문제 해결 한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기술 스타트업 11개사가 참여하는 ‘임팩트업스(ImpactUps)’ 프로그램 론칭 행사를 을지로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22일 개최했다.
이날 SKT타워에서 열린 ‘임팩트업스’ 컨퍼런스에는 임팩트 투자자, 벤처캐피탈 (VC)과 SK 등 대기업 관계자를 비롯한 민관 지자체 등 약 150여 명의 사회적가치 추구 관계자들이 참석해 스타트업이 설정한 소셜임팩트 목표많은 관심을 표했다.
SK텔레콤은 올해 6월, 11개 혁신기술 스타트업 대표들에게 각자의 비즈니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와 이를 통해 사회적가치 목표를 설정하자는 제안을 한 바 있다.
이어 사회혁신 컨설팅 회사 ‘MYSC’와 함께 11개 스타트업의 사회문제 해결 과정과 궁극적인 변화 목표, 임팩트를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와 연결해 정의하고 성과측정지표까지 도출한 것이다.
SK텔레콤은 이러한 사회적가치 추구 목표 설정이 스타트업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지지를 받는 계기가 됐으며 차별적 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향후 SK텔레콤은 11개 스타트업들에게 임팩트 투자자 및 벤처캐피탈(VC) 투자유치 지원, MWC 4YFN(4 Years From Now) 전시 등 국내외 PR 지원, SK텔레콤 및 SK관계사와 비즈니스 협업 기회 발굴 등을 통해 성장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팩트업스’에 참여기업 중 하나인 ‘칸필터’는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냄새를 제거하는 고성능 필터 솔루션 기업이다. 이 회사는 기존의 디젤 엔진 공해 저감장치 기술을 활용, 필터교체와 청소가 필요 없는 혁신적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최근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는 도심지역 미세먼지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리그넘’은 폐목재를 원료로 친환경∙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용 충전 소재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이를 통해 기존 바이오플라스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가능한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을 확산시켜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하고자 한다.
SK텔레콤은 향후 기술혁신성과 사회문제 해결 잠재력을 가진 임팩트업스 기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협력한다는 계획으로 참여기업 확대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의 범위와 방법도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유웅환 SK텔레콤 SV이노베이션센터장은 “임팩트업스는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는 사회적가치 추구를 혁신기술 스타트업에게 접목, 사회문제 해결의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는 새로운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시도가 확산되어 사회적 변화와 혁신 사례가 지속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진영 기자 camp@electimes.com
원본링크 : http://electimes.com/article.php?aid=1571700869188221091
SKT, 스타트업 손잡고 ‘긍정적 사회변화 프로그램’ 출범
SK텔레콤은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11개 스타트업과 함께 ‘소셜 임팩트(긍정적 사회 변화)’를 위한 연합 프로그램 ‘임팩트업스’를 출범했다고 22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날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임팩트업스 론칭 행사를 열고 투자자와 벤처캐피털(VC), 대기업,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150여 명에게 사회적 가치 추구 활동 등에 대해 설명했다.
http://yellow.contentsfeed.com/RealMedia/ads/adstream_sx.ads/www.donga.com/news@x14임팩트업스에는 도심지역의 미세먼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고성능 필터 솔루션을 개발하는 ‘칸필터’와 친환경 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용 소재 개발사 ‘리그넘’,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솔루션 업체 ‘에이티랩’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들 스타트업에 임팩트 투자자 및 VC 투자유치 지원,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전시회의 스타트업 기술홍보관 전시 지원, SK 관계사와 비즈니스 협업 기회 발굴 등 다양한 도움을 줄 계획이다.
원본링크 :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022/98022231/1
공학학림원, SKC와 신소재 창업기업 지원 ‘드림팀’
SKC, 공학한림원과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MOU 체결
산업현장 대기업 대표들과 공학분야 석학교수들 한림원 ‘회원’
배터리·친환경·디스플레이 소재 기술창업 스타트업·벤처 지원
SKC와 한국공학한림원이 27일 서올 종로구 SKC 본사에서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강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완재 SKC 사장(왼쪽)과 권오경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오른쪽). SKC 제공
국내 산업현장의 주요 대기업 대표들과 공학 분야 최고 석학교수들이 회원인 공학한림원이 전기차 배터리·친환경 소재·디스플레이 소재 등 신소재 기술창업에 뛰어든 스타트업·벤처·중소기업 지원에 나선다. 현장 기반 전문기술 노하우를 자문·제공하고,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로서 지닌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를 동원해 투자유치도 주선한다.
에스케이(SK)그룹의 화학·소재 계열사 에스케이씨(SKC)는 27일 권오경 (재)한국공학한림원 회장과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은 지난 2017년에 구축된 대기업·중소기업·소기업 소재산업 생태계 상생협력 플랫폼이다. 그간 정부 알앤디(R&D)전략기획단과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신한은행, 기술보증기금,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법무법인 세종 등 15곳이 참여해 왔다.여기에 공학한림원이 가세하면서 신소재 개발부터 투자유치·기술경영, 창업·회계·법률·금융에 걸쳐 지원하는 드림팀이 만들어진 모양새이다. 공학한림원은 이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친환경 소재·디스플레이 소재 등 신소재 창업기업 104곳에 경영, 공장 운영, 연구개발 분야에 걸쳐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공학한림원은 1996년에 설립된 공학기술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학술 연구기관이다. 회원(정회원 및 일반회원 총 616명)은 산업계 대표와 학계 대표가 각각 절반가량으로, 엘지(LG)화학·에스케이(SK)하이닉스·현대로템·삼성디스플레이·엘지(LG)디스플레이·엘에스(LS)산전·에스케이(SK)실트론 등 주요 산업계의 (부)회장·사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권오경 공학한림원 회장(한양대 공대 석학교수)은 “공학한림원은 2016년부터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자문과 투자유치 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이번 업무협약으로 더 많은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에스케이씨는 2018년부터 매년 ‘스타트업 플러스 공모전’을 진행해 참여기업을 선발·지원(사업화 지원금 연간 총 1억6000만원 및 연구개발·경영 노하우 제공)하고 있다. 신생 창업기업이 만든 소재가 고객사인 대기업 수요업체가 원하는 물성을 가진 제품인지 확인하는 데 필요한 고가의 분석 장비도 제공한다. 올해 새로 참여하는 기업은 △더원머티리얼즈 △도원바이오테크 △리그넘 △바이젠 등 16곳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사업화와 연구·기획 역량 업그레드를 돕고, 정부 알앤디전략기획단은 정책 교육을, 안진회계법인은 회계 자문과 글로벌 투자기관 연계를, 세종은 법률 자문을, 신한은행은 기술 가치평가를 통해 금융을 지원한다.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원본링크: http://www.hani.co.kr/arti/economy/marketing/955427.html
리그넘, ‘친환경 플라스틱’ 글로벌기업 도전
리그넘은 높은 물성으로 활용범위를 극대화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했다. 폐목재를 원료로 친환경·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든다.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자는 데에 지향점을 두고 있다. 유엔(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중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과 ‘기후변화 대응’에 부합한다.
리그넘은 지난해 SK텔레콤의 사회적 가치 추구 프로그램 ‘임팩트업스(ImpactUps)’ 1기로 선정됐다.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셜임팩트 스타트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리그넘은 SK텔레콤을 통해 사업 아이템을 평가 받았다. 지난해 스페인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참석할 수 있었던 것도 SK텔레콤 덕이었다. 이 밖에 IR 행사 등 사업과 관련한 직간접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임팩트를 키우고 있다.
2015년 유엔기후변화회의에서의 온실가스 감축협약(파리협정)이 이뤄졌다. 이로 인해 국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특히 완성차 업계는 연비 및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석유계 내·외장 플라스틱을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생활용품·건축재·농업용 특수 소재 판매 기업도 친환경 브랜드 구축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 바이오플라스틱 업체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업체들의 제품은 높은 가격과 낮은 물성과 범용성 등의 단점으로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리그넘이 등장하면서 관련 업계가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리그넘이 △높은 물성 △경량화 기능 △저렴한 가격 △친환경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리그넘의 사업 모델은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용 충전소재 생산 및 판매, 소재 생산 기술 라이선스 해외 판매로 요약할 수 있다. 플라스틱 생산·판매 업체는 리그넘의 소재를 구입하는 고객사다. 이들은 리그넘과 소재 개량을 위한 공동 연구도 진행한다. 더불어 북미·유럽·아시아 각지의 소재 회사를 대상으로 기술 라이선스 판매도 추진하고 있다.
외형 확장을 위해 연내 30~4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국내 벤처캐피탈(VC)들과 접촉하면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시드(Seed) 투자는 대전의 한 액셀러레이터로부터 받았다. 엔젤투자까지 포함한 누적 투자금은 4억3000만원이다. 향후 5년 안에 더 많은 투자금을 확보해 친환경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본링크 :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1201348121160102192&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대전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 ‘리그넘’
최근 전국에 미세먼지가 다시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면서 올겨울 첫 비상저감조치가 시작된 가운데, 잠시 잊고 지냈던 환경 문제에 대한 이슈가 국민들 사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윤리적 소비를 원하는 젊은 세대의 소비 트렌드에 따라 자동차 식음료 패션 등 각 업계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변화는 바로 친환경 행보다. 환경 시대에 맞춰 환경 문제 해결은 물론, 2030 젊은 소비자 마음 사로잡기에 나선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 중, 대전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인 (주)리그넘의 고성능플라스틱 개발제품이 눈길을 끌고 있다.
대전 소재 (주)리그넘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해 인류의 보편복지 실현에 기여, 사회환경구축에 큰 도움이 되고자 운영하는 대표 기업이다.
(주)리그넘에서 개발한 고성능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는 모든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범용 바이오 충전 소재로 검증된 물성(쌍용차 내장재에 적용 중), 경량화, 친환경 및 가격 경쟁력이 특징이다.
쌍용자동차 티볼리차량 내장재로 납품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외장재로도 검증 완료되어 납품 진행 예정 단계에 있다. 또한, 플라스틱 벌집을 개발하여 기존 벌집 제작의 생산 번거로움을 해결하였다.
(주)리그넘 이상현대표는 “현재까지 기업을 운영 할 수 있는 것은 대전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덕분이다.” 며 “전문 멘토링 지원으로 특허, 사업, 마케팅 등 기업 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의 교육을 지원받으면서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사소한 것이지만 공용 사무기기 지원으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대전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는 사무실 무상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입주기업 상시 컨디션관리, 정부 지원사업 등 활발한 정보교류를 통해서 1인 창조기업이 체계적이고 원활한 기업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https://tpc.googlesyndication.com/safeframe/1-0-37/html/container.html(주)리그넘 이상현대표는 “3년 이내 매출액 50억 달성, 2026년까지 매출액 530억 달성 목표이다. 또한 고성능 친환경 플라스틱 제작으로 이산화탄소 발생을 절감 시켜 사회환경구축에 힘이 되는 기업이 되겠다”라고 향후 계획을 말했다.
경규민 한경닷컴 기자 gyumin@hankyung.com
원본링크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2173288a
이상현 리그넘 대표 “바이오플라스틱, 석유계 대체한다”
리그넘은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용 충전 소재 개발 업체다. 폐목재를 원료로 친환경·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고 있다.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에 일정 비율로 혼합해 하이브리드형 바이오플라스틱을 제작한다. 높은 물성으로 활용범위를 극대화한 친환경 소재다. 생활용품, 건축재, 농업용 특수소재 등 다양한 제품과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리그넘의 바이오플라스틱은 기존 바이오플라스틱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모든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범용 바이오 충전 소재로 검증된 물성, 경량화, 친환경 및 가격 경쟁력이 특징이다. 특히 자동차 내·외장 플라스틱 제작에 주로 활용되면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상현 리그넘 대표(사진)는 20년 가까이 바이오산업 분야에 종사한 전문가다. 대기업과 대학에서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체할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그러던 중 문제의식을 느꼈다.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용 바이오매스는 옥수수·사탕수수·해조류 등 식물성 물질로 이산화탄소 발생이 없어 지구온난화 예방에는 도움을 주지만, 개발도상국의 식량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한계점을 발견했다.
이 대표는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원료로 폐목재를 골랐다. 폐목재는 국내에서 매년 200만 톤 이상 발생하며 50% 가량이 소각·매립돼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이러한 폐목재를 플라스틱소재로 전환해 여러 산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 2017년 리그넘을 창업해 제품화에 성공했다.
이 대표는 “산업계에 몸담은 경험을 토대로 대학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하다가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며 “현재 카이스트 창조기업 지원센터에 입주해 소재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리그넘의 소재는 기존 바이오플라스틱에 비해 여러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자랑한다”며 “국내외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그넘의 신소재는 쌍용자동차 티볼리 등 차량 내장재로 납품되고 있다. 현대자동차 외장재로도 검증이 완료돼 납품을 앞두고 있다. 최근 완성차 업계의 트렌드는 차체 경량화와 친환경이다. 때문에 리그넘과 협력하려는 완성차 업체 및 벤더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미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협력 제안을 받은 상태다.
이 대표는 “리그넘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자동차에 최초로 적용한 업체”라며 “뛰어난 범용성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여러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국내 완성차 업체를 통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연을 맺게 됐다”며 “납품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리그넘의 매출은 아직 미약하다. 지난해의 경우 연매출 5000만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완성차업계를 비롯해 여러 산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가전, 건축업계와의 만남도 이어가고 있다. 수년 내 연매출 50억원을 달성한 뒤 2026년까지 53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국내 및 해외에 조인트 벤처(Joint Venture)를 설립, 양산 공장을 건설하고 시설 유지비용을 수익으로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정립할 계획이다.